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3 희생자 추념일] 우리가 기억해야 할 참혹한 그날의 역사, 제주 4.3 사건 요약.


비설(飛雪)- 희생자 변병생(호적명:변병옥) 모녀의 기념조각 4.3 평화공원

 

제주 4.3 사건이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미군정기에 발생하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이르기까지 7년여에 걸쳐 지속된, 한국 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 피해가 극심했던 비극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제주 4·3 사건 진상조사보고서>

 

 

 

사건의 발단, 3.1 사건.

 

1947년 3월 1일, 제28주년 3·1절 기념 제주도 대회가 열렸습니다. 행사가 끝난 뒤 가두시위에 나선 군중들 중 어린아이가 관덕정 부근에 있던 기마경찰의 말발굽에 치여 다치게 됩니다. 하지만 기마경찰이 다친 아이를 방치하고 지나가자 군중들이 흥분하여 돌을 던지며 항의했고, 관덕정 부근에 있던 무장경찰은 군중을 향해 총을 쏘았습니다. 경찰의 발포로 인해 주민 6명이 사망하였고, 이것이 기폭제가 되어 잠잠했던 제주사회가 끓어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제주 4.3 사건의 도화선이라 불리는 3.1 사건은 이렇게 시작되었습니다. 

 

* 관덕정

제주 관덕정(濟州 觀德亭)은 제주시 삼도2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누정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322호로 지정되었다. 제주 시내 중심부에 있으며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의 하나로, 제주목 관아 시설과 함께 있어 오랫동안 제주도를 상징하는 건물이자 제주 광장 문화의 터전이었다.

 

<Copyright. 위키백과>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1947년 3월 10일부터 3.1 사건에 항의하여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던 민, 관 합동 총파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제주도민의 민, 관 총파업에 미국은 제주도를 '붉은 섬'으로 지목했습니다. 이에 본토에서 응원경찰을 대거 파견시키고, 극우 청년단체인 서북청년회(서청) 단원들이 속속 제주에 들어와 경찰, 행정기관, 교육기관 등을 장악하기 시작했습니다.

 

'빨갱이 사냥'을 한다는 명분으로 그들은 테러를 일삼아 민심을 자극시켰고, 이는 4.3 사건 발발의 한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당시 한반도는 분단의 위기에 봉착하고 있었습니다. 남로당 제주도당은 이반 된 민심과 5.10 단독선거 반대 투쟁을 결합하여 경찰과 서청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 단정 반대를 가치로 무장봉기를 일으키게 됩니다.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한라산 기슭 오름마다 봉화가 붉게 타오르면서 남로당 제주도위원회가 주도한 무장봉기가 시작됩니다. 250명의 무장대는 12개 경찰지서와 서북 청년회 등 우익단체 단원의 집을 지목해 습격하였습니다.

 

*남로당

남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줄여서 남로당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다. 당수는 초대 여운형, 2대 허헌, 3대 박헌영이 맡았다. 기관지로 노력인민이 있었다.

 

 

조작된 '오라리 방화사건'

 

5.10 총선거를 앞두고 미군정과 무장대와의 평화협상 성사되었지만, 협상 사흘 만에 우익청년단이 제주읍 오라리 마을을 방화하는 소위 '오라리 사건'이 벌어지고, 5월 3일 미군이 경비대에게 총공격을 명령함에 따라 협상은 깨졌습니다. 경찰은 오라리 마을에서 경찰의 후원 아래 우익청년단원들이 방화한 사실을 무장대의 방화로 몰아갔습니다. 미군정은 '오라리 방화사건' 이후 평화적 해결 대신 무력에 의한 강경진압작전으로 선회했습니다. (이 사건은 경찰이 조작했던 사건으로 '4.3 진상규명운동' 과정을 통해 밝혀졌습니다.)

 

 

오라리 방화사건 (C) 제주4.3평화재단

 

5.10 총선거가 제주도 2개 선거구만이 과반수 미달로 무효 처리되자 미군정은 이를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저해하는 불순세력의 음모로 판단했습니다. 이에 미군 대령을 제주도 총사령관으로 파견해 무리한 검거작전을 감행하여 6.23 재선거를 시도했으나 그마저 실패하자 제주도에 대한 강경 토벌작전이 실시되었습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수립된 뒤 정부는 제주도 사태를 진압하기 위해 군 병력을 증파하여 강력한 진압작전을 펼치고, 대대적 강경 토벌작전이 제주 전역을 휩쓸게 됩니다. 10월 11일 제주도에 경비사령부를 설치하고 해안에서 5KM 이상 들어간 중산간지대를 통행하는 자는 폭도대로 간주해 총살하겠다는 포고문이 발표되고, 이때부터 군경토벌대는 중산간 마을에 불을 지르며 주민들을 집단 살생하기 시작했습니다.

 

* 5.10 총 선거

1948년 5월 10일 우리나라 제헌국회를 구성하기 위하여 실시된 국회의원 총선거.

 

 

계엄령 선포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이 선포되고, 중산간 마을에 대대적인 강경 진압작전이 시작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소개령에 의해 해안마을로 내려간 주민들까지 무장대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살생을 당했습니다. 이유 없는 사람들도 폭도라 지목당하고 그것만으로도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되었습니다.

 

학살은 군경토벌대만 저지른 것이 아니었습니다. 무장 대들은 해안마을을 습격하여 경찰가족과 우익인사를 살해했습니다. 그 와중에 무고한 주민들도 상당수 희생되었습니다. 복수와 증오, 복수에 의한 복수로 인해 두 이념 사이에서 민간인들의 희생이 극에 달했습니다.

 

동굴에 숨어든 무고한 제주 주민들 영화 '지슬' 중 (출처-네이버영화)

 

 

1949년 3월 '산에서 내려와 귀순하면 과거 행적을 묻지 않고 살려주겠다'는 방침의 선무공작이 전개되었고 한라산에 피신해 있던 1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하산했습니다. 하지만 약속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고, 1,600여 명이 총살당하거나 전국 각지의 형무소로 보내졌습니다.

 

1949년 5월 10일 재선거가 치러졌고, 그해 6월 무장대는 사실상 궤멸하였습니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예비검속자와 전국의 형무소 재소자들이 또다시 희생되었고, 기나긴 수난의 세월을 보낸 뒤,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 지역이 전면 개방되었습니다.

 

1947년 3.1절 기념식 발포사건과 1948년 4.3 무장봉기로 시작되었던 제주 4.3 사건은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과 과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2만 5,000 ~ 3만 명의 무고한 주민들이 희생된 가운데 7년 7개월 만에 막을 내리게 됩니다.

 

제주 4.3 사건은 이념을 둘러싼 정세에 혼란 속에서 죄 없고 무고한 이들이 집단의 입맛대로 변질되어 살해당한 처참하고 슬픈 역사입니다.

 

 

4.3 특별법 제정

 

2000년 1월 11일 청와대에서는 그동안 진상규명 운동에 앞장서 온 유족·시민단체 대표 8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김대중 대통령이 4·3 특별법에 서명했습니다. 4·3 특별법은 “4·3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희생자와 그 유족들의 명예를 회복시켜 줌으로써 인권신장과 민주발전 및 국민화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제1조)고 그 취지를 밝혔습니다.

 

 

'제주4.3특별법'에 서명하는 김대중 대통령 (c) 제주4.3평화재단

 

 

4·3 특별법은 4·3 사건이 발발한 지 50여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차원의 진상 규명의 방임과 희생자들에 대한 명예회복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데 대한 반성과 해결의 의지를 보여준 결과습니다.

 

 

진상조사보고서 확정과 대통령 사과

 

2003년 10월 15일 4·3 사건의 진상을 담은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보고서가 확정되었고, 10월 31일 노무현 대통령은 제주도를 방문하여 진상보고서에 근거해 과거 국가권력의 잘못을 공식 사과했습니다. ‘국가 공권력에 의한 대규모 민간인 희생’ 사실을 정부가 인정한 것입니다.

 

 

추모와 국가기념일 지정

 

과거 4·3은 반세기 넘도록 금기의 영역에 갇혀 있었기 때문에 유가족들은 희생자들을 위령하는 행사조차 공개적으로 열기 어려웠다. 4·3 희생자 추념일을 법정 기념일로 봉행하기까지는 험난한 과정을 거쳤습니다.

 

2014년 3월 18일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고 3월 24일 자 관보에 게재함으로써 ‘4·3 희생자 추념일’ 지정을 위한 대통령령 개정안이 마침내 공포되었습니다.

 


제주 4.3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된 영화 '지슬'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꼭 감상하시길 강력 추천합니다!

 

https://youtu.be/IEX8xORH1Ng

 

 

제주4.3평화공원

 

4·3 사건으로 인한 제주도 민간인 학살과 제주도민의 처절한 삶을 기억하고 추념하며, 화해와 상생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한 평화·인권 기념공원입니다.제주 4·3 평화공원 조성은 제주 4·3 사건에 대한 공동체적 보상의 하나로 이루어졌습니다.

 

4·3 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 희생자의 명예회복 및 평화·인권의 의미와 통일의 가치를 되새길 수 있는 평화와 통일의 성지이자 인권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시설 안내

  • 위령제단

    연중 4·3 희생자에 대한 참배를 진행하는 경건한 공간

  • 위패봉안실

    희생자 14,363명 중 14,256명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공간(생존희생자 107명)

  • 위령광장

    매년 4·3 희생자 추념식이 봉행되는 광장

  • 봉안관

    4·3 유해발굴사업에 의해 발굴된 405기의 유해 봉안

  • 각명비원

    희생자의 성명, 성별, 당시 연령 등을 기록

  • 행방불명인 표석
    • 시신을 찾을 수 없는 희생자 표석 3,942기 설치
    • 제주지역 2,052 / 경인지역 556, 대전지역 270, 영남지역 446, 호남지역 397, 예비검속 221 (2019년 10월 현재)
  • 초대광장

    방문객을 맞이하는 공간으로 평화문화행사 개최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명림로 430 (봉개동)

전화 : 064-723-4344

 

제주도 가시면 한 번쯤 방문하시는 것도 아주 좋을 것 같습니다.


본 포스팅은 '제주 4.3 평화재단' 자료를 기반으로 쓰였습니다.